아래 링크 글의 이전글에서도 논했지만 작년 후반에 시작하여 올해는 외국에서도 간접인쇄 열전사에 대한 부분이 많이 활성화 된듯 합니다. (열전사 필름 프린터, 디지털열전사, DST (Digital Screen Transfer), 등 이름으로 )
해서 이해를 돕도록 유튜브 동영상을 첨부 하고 간단하게 설명을 드립니다.
명칭을 정하라 한다면 디지털 핫멜트 열전사 , DPT (Digital Printing (hotmelt) Transfer) 등로 불리우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적립된 예 -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아래 링크를 읽어 보시면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지만, 기존옵셋이나 실크인쇄의 작업 공정을 디지털로 바꾸는것입니다.
요즘 한때 유행 했던 레이져프린트를 이용한 전사도 이와 같은 방법입니다.
-----------------
전사시스템, 간접인쇄(열전사)및 중국산 전사시스템에 대해.
https://blog.naver.com/jmoaa/222101728350
열전사 필름 프린터(DST)/ 중국산 전사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동영상
아래 링크 글의 이전글에서도 논했지만 작년 후반에 시작하여 올해는 외국에서도 간접인쇄 열전사에 대한 ...
blog.naver.com
-----------------
단지 잉크젯의 텍스타일잉크를 사용하니 그에 맞는 전사용지가 필요하고 프린터에서 힌색을 컨트롤하는 립이 필요합니다.
즉 평판으로 텍스타일 출력(DTG)하는 분들은 이 전사용지와 핫멜트만 있으면 사용을 시도하셔도 됩니다.(아래 동영상 참조)
이 DTG하는 분들중 오래된 분들은 힌색잉크에 대한 트라우마가 많을 것입니다.
초기 국내 텍스타일환경이 썩 좋지 못했습니다.
특히 이 잉크에 대한 부분은 가장 고민거리고 가장 원가적 측면에 가장 골치였습니다..
듀폰잉크는 좋은데 원가 너무 비싸서 다른잉크로 갈아타는 시도를 다 해봅니다.
처음은 저렴한 중국산도 사용해 본분들로 있을것 입니다. 중국산 잉크 요즘은 많이 좋아 졌지만 이전엔 정말 형편 없었습니다.
이로 인해 고가의 헤드 많이들 날려 먹은 사례가 너무 많습니다.
또한 평판장비의 서큘레이션 장치(힌색잉크 잉크교반장치)도 너무 미흡하거나 아예 장착을 안한 기종이 대부분이 었으니 그럴만도 했으리라 봅니다.
--------
참고 써큘레이션(circulation)장치- 잉크를 순환시켜 잉크가 침전이 안되도록 하는장치.
UV힌색잉크는 안료 특성상 무게가 무거워 침전이 이뤄 집니다.
밀베이스나 분산제가 좋아져서 요즘은 침전이 확연하게 개선이 된것도 사실이나, 아직도 힌색잉크는 2-3일 정도면 침전이 일부 이뤄집니다.
써큘레이션장치가 없다면 최소 잉크통에 잉크 교반장치라도 설치를 해야 합니다.
만약 잉크통 하단에 침전된 걸쭉한 힌색잉크가 호스를 통해 헤드로 전달 된다면 헤드는 바로 막힘이 발생하고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 합니다.
------
프린터, 플로터, 평판 등 플린터 장비는 장비를 충분히 AS할수있는 판매점에서 구매를 해야 향후 AS나 응급 문의등이 쉽고 편합니다.
프린터를 조금 알고 있다해서, 프린터를 사용을 많이 해 보았다해서 장비를 판매하는것은 정말 무모합니다.
저희 같은 몇십년된 개발 엔지니어도 항상 실수하고 응급대처를 못하는 경우도 있답니다.
내가 직구로 중국에서 평판 구매 후 사용하는 거와 다를 바 없습니다.
예로 평판프린터(UV, 솔벤)의 경우 중국에서 직구로 구매한 후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국내 모 판매자는 저렴한 중국산 판매하며 판매 후 AS능력이 안되니 나몰라라 하는경우도 있고, 이 일 하면서 아마 수백건의 이런 문의를 받고 어드바이스 한 경우 입니다.
저희도 향후 저렴하게 이 열전사 라벨을 만들수 있는 솔루션을 대응할까 생각중입니다.
(시도를 하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한 팁을 드린다면,)-구하기 어려운 잉크젯용 전사용지 구비, 등
P800을 이용한다든지 A4크기는 L805를 이용한다든지 ...(2년 여전 연구용역으로 프린터 커스터마이징해서 연구용역 작업함)
힌색을 컨트롤해야 해서 립(RIP)이 필요하고, 힌색잉크가 굳기전 핫멜트파우더를 도포해야 해서 프린팅시 쉬트타입은 톱니에서의 오염 방지와 톱니를 제거한후 용지들뜸을 방지하는게 필요합니다.
또한 컬러 힌색 동시 인쇄의 경우 컬러잉크가 건조 안되면 두 잉크가 혼색되는 경우도 있어 적절한 컬러 건조를 해주는것도 필요 합니다.
(저렴한 프린터로 먼저컬러출력한후 건조하고 다른 프린터에서 힌색을 프린트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합니다.)
-----------------------
아래는 요즘 유행하는 열전사 간접인쇄 하는 방법 입니다.
유튜브 검색하면 이 동영상 외에도 매우 많습니다.
동영상을 보시면 아 이렇게 만드는구나/ 방법론에 대해 이해가 되실듯 합니다.
'핫멜트전사(D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A2(420mm) DTF Roll 프린터, 자동핫멜트용융기set (여름특가 진행중) (0) | 2022.07.05 |
---|---|
열전사 필름 프린터, 디지털 핫멜트 열전사 , DTF, DPT 소형장비 소개(A3, A2등) (0) | 2021.02.26 |
열전사 필름 프린터, 디지털 핫멜트 열전사 , DPT 작업 샘플 (0) | 2020.11.01 |
전사시스템, 간접인쇄(열전사)및 중국산 전사시스템에 대해.. (0) | 202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