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전사 필름 프린터, 디지털 핫멜트 열전사 , DPT (Digital Printing (hotmelt) Transfer) 작업 샘플
디지털 핫멜트 열전사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은 아래 링크의 이전글을 참고 바랍니다.
--------
전사시스템, 간접인쇄(열전사)및 중국산 전사시스템에 대해..
https://blog.naver.com/jmoaa/222084124595
열전사 필름 프린터(DPT)/ 중국산 전사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동영상
https://blog.naver.com/jmoaa/222101728350
--------
아래 샘플은 L805를 이용하여, 금번(2년여전 개발)생산한 텍스타일전용 핫멜트전사용지에 출력하여 작업한 것이며, 잉크는 텍스타일잉크에 별도로 이 용지에 최적화해서 내구성을 더 높이도록 한것 입니다.
▶출력기종: A4- L805 개조(힌색 서큘레이션, 용지급지개조(톱니제거,용지안착가능하게), 기타 여러가지)
(가능기종 A3(폭330mm), A2(폭 430mm))
▶사용잉크: 텍스타일 베이스 핫멜트용지에 최적화
▶ 출력: Rip사용 백색(w) 동시출력 (C,M,Y,K,W,W)
▶용지(필름): DPT (Digital Printing (hotmelt) Transfer)전용 용지
▶핫멜트 도포 경화: 전용 핫멜트 경화기(임시고착을 해줘야 보관이 용이하며 핫멜트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현재 하단 샘플은 수작업으로 한것임)
--------
참고 써큘레이션(circulation)장치- 잉크를 순환시켜 잉크가 침전이 안되도록 하는장치.
UV힌색잉크는 안료 특성상 무게가 무거워 침전이 이뤄 집니다.
밀베이스나 분산제가 좋아져서 요즘은 침전이 확연하게 개선이 된것도 사실이나, 아직도 힌색잉크는 2-3일 정도면 침전이 일부 이뤄집니다.
써큘레이션장치가 없다면 최소 잉크통에 잉크 교반장치라도 설치를 해야 합니다.
만약 잉크통 하단에 침전된 걸쭉한 힌색잉크가 호스를 통해 헤드로 전달 된다면 헤드는 바로 막힘이 발생하고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 합니다.
------
출력사이즈는 A4 (210mm*297mm)
출력사이즈는 A4 (210mm*297mm)
=============
배면 컬러출력 후 백색출력(동시출력) (톱니가 나오지 않는 장비를 장착하지 않아서 생기는 톱니선 참조)
배면 컬러출력 후 백색출력(동시출력)
열프레스로 열 압착한 후 상태 (열프레스 165도 15초)
====================
청바지원단에 열프레스 - 바깥라인에 백색여백을 좀 주면 디테일이 더 살아 날듯 보입니다.
'핫멜트전사(D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A2(420mm) DTF Roll 프린터, 자동핫멜트용융기set (여름특가 진행중) (0) | 2022.07.05 |
---|---|
열전사 필름 프린터, 디지털 핫멜트 열전사 , DTF, DPT 소형장비 소개(A3, A2등) (0) | 2021.02.26 |
열전사 필름 프린터(DPT)/ 중국산 전사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동영상 (0) | 2020.11.01 |
전사시스템, 간접인쇄(열전사)및 중국산 전사시스템에 대해.. (0) | 202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