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화전사 솔벤전사

승화전사용지 무엇을 선택할까?? 습식용지? 건식용지? 80g 100g 135g ?

UV하모 2020. 4. 11. 08:53

승화전사 초보 입문자나 품질을 높이려 연구 하시는 분들이 가장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구분을 못하는게 이 승화전사용지 일것 입니다.

승화전사가 종이보다 잘되게 잉크도 빠르게 흡수하고 안벽하게 전사되는 잉크가 최적일텐데 그것을 찾기가 힘듭니다.

해서 시중에 나오는 습식용 전사지 건식용 전사지를 구입해서 테스트 합니다.

1. 시중용어로 건식 승화전사용지 습식 승화전사용지중 어떤게 전사가 잘될까요??

당연 습식이 전사효율이 높습니다.

한데 단점도 존재 합니다. 잉크가 잘 마르지 않고 톱니를 통과하면서 오염시키고 등등..

습식사용 후 이 단점으로 건식을 사용하다 다시 습식으로 오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2. 건식 승화전사용지를 사용하면 전사효율이 많이 떨어지나요??

꼭 그런것은 아닙니다. 작업자가 습식 일때와는 다르게 이를 대처하면 습식대비 90~95%까지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봅니다.

온도조절이나 압력조절 시간조절을 잘 안배하여 최적을 찾는 것입니다.

3. 단점을 극복하고 더 좋은 용지를 만들수 없나요??

그 이유는 아래 2012년7월 제가 올린 글에서 발췌합니다.

( https://blog.naver.com/jmoaa/40163043303 )

--------블로그 글 발췌 start------

잉크흡수율, 전사효율, OD(선명도)

곡면전사용 용지에 관한 문의가 많습니다.

또한 사용하는 용지의 특성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고 용지마다 장단점이 존재함을 잘 모르시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전사용지의 평가는 크게 나눈다면 잉크흡수율, 전사효율, OD(선명도) 를 준해서 평가를 해야 할듯합니다.

하지만 이 모든것을 100% 충족시킬수 있는 용제나 용지는 없을것입니다.

이 3가지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중 잉크흡수율에 관련된 상담을 제일 많이 받은것 같습니다.

즉 현재 3D곡면전사 현업에 계신 분들의 이야기중 잉크가 잘마르지 않고 요즘(여름철)같이 습도가 많을때 습도에 매우 민감하여 전사잉크로 프린트 후 건조가 잘안된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시고 건조가 빠른 용지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것 같습니다.

물론 작업의 편리성에는 매우 중요할것입니다. 하지만 고품질의 퀄리티를 내야하는 제품이라면 어패가 있다는 말씀을 조심히 드려봅니다.

일반적으로 전사용지가 매우 좋다는 표현은 전사효율이 좋은 용지를 우수한용지라 말합니다.

하지만 전사효울을 좋게 만든다는데 여러 맹점이 존재합니다.

전사효율만 강조하다 보면 선명도나 잉크흡수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즉 세가지다 좋을순 없다는 뜻입니다. 단지 최적을 찾는거죠...

대부분 잉크흡수율을 높이면 잉크흡수는 빨라 건조가 빠르나 전사효율이나 선명도는 떨어집니다.

즉 용지만들때 무기물 함량을 많이 넣어야 하는데 이무기물은 표면을 거칠게 하고 잉크를 깊숙히 흡수하여 전사효율을 방해하는겁니다.

최적의 곡면전사용 용지를 만든다는게 어려움을 느낍니다.

 

곡면전사용 용지를 개발할 시 간단한 비밀을 누설한다면,

- 소재 열변형점에 따른 특수용지 변형율 연구

- 전사용특수용지(시료비율에 따른 개발된용지)에 따른 전사효율 연구

- 소재별( PBT, PET 등) 히터종류에 따른 수축율, 물성변화 연구

- 특수용지에 고스팅 처리결과 테스트 -고스팅 방법 연구

- 언더코팅층에 시료반응(오븐기 사용)시 대승화율, 접착정도, 수축율 연구

의 연구를 거쳐서 개발합니다.

물론 중요한 부분은,

소재의 열변형점에 따라 전사되는 원 그림이나 마크가 변형이 이뤄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연구를 통해서 특수용지의 용제 비율을 조정하여 최적의 용지 개발하며, 시료용제의 비율과 시료를 다르게 연구하여 최적의 잉크흡수율, 전사효율, OD(선명도),가 높은 용지개발에 있으며 특히 오븐기를 통해 최적의 전사사효율을 갖는 용지개발에 있습니다.

--------블로그 글 발췌 end------

승화전사용 종이 용지가 아니지만 종이도 비슷합니다.

사실 습식이네 건식이네 이런 단어도 사실 좀 난해한 용어들입니다.

전사효율을 좋게 만드는 재료가 PVA입니다. 한데 이 PVA는 습기에 매우 민감하고 성질이 좀 끈적거립니다.

해서 전사율은 조금 떨어지지만 그래도 효용성이 높은 CMC계열과 믹싱을 합니다.

그 함량으로 습.건식이 나뉘는게 대부분 입니다. 물론 잉크 흡수를 돕기위해 무기물을 소량 넣습니다.

무기물은 전사율에 마이너스적 요소지만 잉크가 흡수가 너무 안되면 안되므로 넣는것입니다.

중요한건 모든것을 다 커버되고 최적인 용지는 없습니다.

작업자가 환경을 맞추거나 프로세스를 바꾸는 방법입니다.

용지두께도 전사효율에 영향을 미치긴 합니다만 미약합니다.

용지가 두꺼워지면 진한잉크를 흡수하는 공간이 넓어지니 용지가 배가 부른다든지 등의 현상은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