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시스템, 간접인쇄(열전사)및 중국산 전사시스템에 대해..
요즘 갑자기 전사시스템, 디지털열전사 시스템이란 이름으로 국내에 소개되는 간접인쇄 핫멜트 열전사가 소개되고 있습니다.
이 인쇄가 어떤 방식인지부터 집고 넘어 갑니다.
디지털이 활성화가 되기 이전 오래전부터 의류에 마크나 패턴을 인쇄해서 사용을 해 왔으며, 그 인쇄방법을 열거 합니다.
1. 직접인쇄
면, 폴리에스터, 나일론등에 직접 프린트(나염, 실크스트린)하는 인쇄 방법입니다.
유성잉크 계열, 플라스티 졸잉크, 수성잉크계열, 발포잉크, 실리콘잉크로 의류에 직접 인쇄 하는 기법입니다.
2. 간접인쇄
방수코팅, 나이론 , 수영복, 잠수복 ,피혁 등 표면 특성상 스크린인쇄 잉크가 침투가 잘 되지 않는 원단에는 직접 인쇄하기가 어렵습니다. 해서 간접인쇄 기법을 사용해서 원단에 인쇄 합니다.
아래 그림1과 같이
필름(전사대지)에 아래 도식과 같이 인쇄를 한후 마지막으로 핫멜트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의류원단에 올려 놓고 고열 고압의 프레스(Heat Press)로 압착 열전사후 필림을 분리하면 되는 기법입니다.
(아래 그림1의 순서를 주의 깊게 보시기 바랍니다.)
3. 간접인쇄 변형
간접인쇄의 특성상 풀컬러의 경우는 오프셋으로 하거나 2-3도인쇄의 경우도 실크인쇄를 해야 하는 등 소량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프린터가 발달하면서 풀 컬러출력을 할 수 있는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량생산도 시도를 해보자 해서 시도를 하게 되는 간접인쇄의 디지털변형이 바로 솔벤프린터를 이용하는것 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그림1과 비교해 보면 알겠지만 컬러층만 솔벤프린터로 디지털 출력을 하지만 백색인쇄나 접착층은 기존 방법으로 해야하는 부족한 디지탈 핫멜트 열전사 기법이며, 현재도 시도를 하고 있는곳이 많습니다.
4. 디지털 간접인쇄
요즘 갑자기 전사시스템, 디지털전사시스템이란 이름으로 국내에 소개되는 간접인쇄 핫멜트 열전사가 소개되는데 이것이 디지털을 이용한 간접인쇄 입니다.
이는 단기에 텍스타일 잉크의 비약적 발전과 힌색잉크의 분산과 생산능력이 좋아져서, 디지털 텍스타일의 발전을 이용한 간접출력으로 이해 하면 됩니다.
아래 그림3에서 보듯이 텍스타일 피그민트 프린팅과 백색잉크프린팅을 한번에 할수 있어 기존 공정에 비해 디지털을 이용하는 빈도를 높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의 접착층도 이전 그림1,2 의 경우는 대부분은 액상 핫멜트를 실크인쇄하거나 잉크가 굳기전 핫멜트파우더를 뿌려서 했는데, 디지털을 이용한 간접인쇄는 힌색잉크가 굳기전에 핫멜트 파우더를 뿌린 후 아래 도식도에 보듯이 핫멜트 파우더를 임시로 고착하는 열처리를 하는 공정으로 마무리 됩니다.
그림1, 2, 3에서 전사대지 즉 필름은 오프셋용, 실크스크린용, 잉크젯용 등 별도로 다르게 코팅해서 만들어야 합니다.
이와같이 프린팅을 한후 핫멜트 파우더 임시 고정(고착) 시킨 대지를 아래 그림 4처럼 의류원단에 놓고 열프레스를 이용하여 핫멜트가 의류원단에 접착할수 있도록 하는기법입니다.
필자 회사에서도 국내 의류 브랜드의 연구 용역작업으로 2년전 위 그림처럼 프린터를 제작하여 직접 시도하였고, 그 연구 결과를 전달 한 바 있으며, 저렴한 프린팅 구성이 가능합니다.
왜 저렴한 프린팅이 가능하나는 아래 동영상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
==============
중국산 전사시스템(핫멜트 열전사)시스템에 대해서
1. 이 간접인쇄 기법은 국내의 우위 기술이 숨어 있는 기술이고 품질이나 기교적부분 견뢰도 높이는 부분등 모든부분에서 국내 인쇄 업체들이 더 월등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 인쇄 방법입니다.
2, 심지어 중국의 업체들의 홍보물에서도 공공연히 한국기술임을 적시하고 있습니다.
(아래 중국내 홍보물 그림 참조)
3. 중국내에서도 거품이 많은 프린터 입니다.
사실 복잡한 공정이 필요 없는 간접인쇄 기법입니다.
인쇄만 한다면 아래 동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핫멜트파우더를 수작업으로도 충분히 할수 있고 솜씨 있는 분들은 편리하게 간단한 장비도 만들어서도 할 수 있는 장비 입니다.
4. 잉크에 관련해서도 국내 업체가 더 많은 노하우가 있을것 입니다.
현재 중국에서 사용하는 잉크는 중국생산 텍스타일 잉크로 하고 있습니다.
중국내 일부 장비 업체는 잉크회사와 더 나은 퀄리티와 견뢰도를 위해 별도의 잉크를 출시해서 나와 있는 상태이나 중국내에서도 이 잉크는 상당히 고가로 거래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국내 텍스트일 잉크는 중국내에서 중국제품에 비해 2~3배 비싼가격으로 거래되는 하이엔드급 잉크 랍니다.
여튼 새로운 모델은 아니지만, 저포함 국내 엔지니어들을 부끄럽게 만들어 버린듯 합니다.
부끄럽게도 중국에서 먼저 상품화 되어서..
하지만 너무 부풀어진 가격으로 구매는 지향해 주었음 하는게 저 개인적 생각이며,
이것도 복잡한 플로터(프린터)입니다. 이 프린터를 AS가능하냐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최소 중급이상의 엔지니어를 보유해야 할것 입니다.
이 글은 이전 연구작업 용역한 일부를 인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